8월20일 금투협서 '자본시장 가치제고 지속가능성 의무공시 관련 토론회'
금투협ㆍ자본연ㆍ한은ㆍ회계기준원ㆍ회계학회 공동 개최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ESG 공시 의무화 여부와 도입 시기 등에 관한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투자자 관점에서 ESG 공시 문제를 바라보는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다. 이 토론회에는 국민연금 관계자도 참석해 ESG 공시에 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한국회계기준원 관계자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 한국회계학회, 한국은행, 한국회계기준원이 공동으로 오는 8월20일 오후 2시부터 3시30분까지 금투협에서 ‘자본시장 가치 제고를 위한 지속가능성 의무공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지속가능성 정보의 유용성’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전윤재 KB금융지주 ESG 사업부 부장과 최종원 NH아문디자산운용 채권 리서치실 실장이 ‘포트폴리오 관리에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가 필요한 이유’와 ‘투자의사 결정을 위한 지속가능성 의무공시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에 나설 예정이다.
주제 발표 후에는 이동섭 국민연금공단 수탁자책임실 실장과 국민연금 지배구조개선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김이배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나승호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실장실 실장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가 열린다.
이웅희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상임위원이 좌장을 맡게될 토론회에는 정준혁 서울대학교 교수와 전규안 숭실대학교 교수, 최치연 금융위원회 공정시장 과장도 참여한다.
ESG 공시기준을 만들고 있는 KSSB는 공시기준 초안이 공개된 후 242개 기업과 개별적으로 간담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했고 이후에도 다수의 현장 간담회를 통해 기업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KSSB는 공시 정보 제공자인 기업의 의견은 충분히 들었다고 판단하고 앞으로는 투자자와 학계 등 정보 이용자 쪽에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추가로 청취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GRI, EU ESRS기준 공시 연계 서비스...이중공시 부담 완화
- 캐나다 대형 연기금, 자국 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에 ISSB 기준 준수 촉구
- 지속가능성 입법이 ESG 최고 의제...다음은 ESG 공시 도입
- "허위기재나 그린워싱 방지하려면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
- 국내 대기업, ESG공시 이중중대성 평가 91%...ESRS 선제적 대응
- ISSB, 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제시...자연자본 공시기준 TNFD 권고안 활용
- [김광기 칼럼] ESG 공시 놓고 ‘민낯’ 드러낸 재계와 정부
- [이신형 칼럼] ESG 공시 논란, 정보 이용자의 의견은 왜 묻지 않나
- ESG 공시, “추정치에 대한 우려 지나쳐...추정 근거 명확히 밝히면 된다”
- ESG 공시 2029년 의무화?...전문가들 "그 이전에 시행해야"
- ESG 공시기준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활발...TNFD‧EFRAG도 공동 자료 발간
- [단독] 4개 경제단체 “ESG공시 의무화 2029년부터”...정부에 건의하기로
- 국제적 정합성 갖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식 연구...전문가 협의체 구성
- 주주행동주의 대응하려면 "집중투표제ㆍ이사선임 정책 수립 필요”
- 국민연금 “국내 ESG공시 빨리 도입돼야…스코프3 의무화 필요”
- 지속가능성 의무공시 토론회 개최
- 노르웨이 국부펀드, 日에 ISSB 부합 ESG 공시기준 도입 촉구
- ESG 공시 정보 이용자 73%가 '스코프3' 의무화 찬성
- KB금융, "지난해 5.7조원 사회적 가치 창출…61%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