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기업 분석, ’22년 26.5%→'23년 91.2%로 급증
국내 ESG공시 도입 최대한 늦추자는 주장 나오지만 대기업은 발빠른 대응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국내 대기업 중 유럽연합(EU)의 ESG 공시기준인 ESRS 기준이 요구하는 이중중대성 평가를 실시한 기업이 최근 급증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를 놓고 국내 대기업들이 ESRS 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 [단독] 4개 경제단체 “ESG공시 의무화 2029년부터”...정부에 건의하기로
- 탈탄소 전환계획 수립 기업 지난해 44% 증가
- 대기업 58% "ESG 공시 의무화 '28년 이후로" vs. "미루는 게 능사 아냐"
- [전환 시선] 2029년 ESG 공시, 늦어도 너무 늦다
- [이신형 칼럼] ESG 공시 논란, 정보 이용자의 의견은 왜 묻지 않나
- ESG 공시, “추정치에 대한 우려 지나쳐...추정 근거 명확히 밝히면 된다”
- ESG 공시 2029년 의무화?...전문가들 "그 이전에 시행해야"
- 국내 ESG공시 기준안, ISSB 기준과의 차이점은?
- KSSB ESG 공시기준, 시나리오 분석 매년 요구 안 해
- “ESG 공시 인증 법과 제도 정비 시급...진도 늦어”
- “이대로 가면 새만금 잼버리처럼 망할 수도”...ESG공시 정책에 쏟아진 비판과 우려
- 국내 ESG공시 초안에 쟁점 사항들 빠져..."기업 입장 너무 의식" 지적 나와
- KSSB,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의무화...스코프3는 미정
- KSSB 공시 초안 발표...지속가능성 정보와 재무제표 동시 공시해야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허위기재나 그린워싱 방지하려면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
- 공인회계사회, ESG 공시 실무 지침서 발간
- 지속가능성 입법이 ESG 최고 의제...다음은 ESG 공시 도입
- 캐나다 대형 연기금, 자국 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에 ISSB 기준 준수 촉구
- GRI, EU ESRS기준 공시 연계 서비스...이중공시 부담 완화
-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성 위한 기후공시 방향 제안 토론회
- 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흔들리나...FT "인재 유출 위험” 지적
- 투자자 관점 ESG 공시 토론회 열린다...한은‧국민연금도 참여
- 유니레버‧다농 등 132개 글로벌 기업, 생물다양성 보존 노력 촉구
- 국제적 정합성 갖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식 연구...전문가 협의체 구성
- 국민연금 “국내 ESG공시 빨리 도입돼야…스코프3 의무화 필요”
-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상장사 17% 늘어...“ESG 공시 의무화 대비”
- 美 SEC, 기후공시 의무화 반대 소송에 적극 대응 천명
- ESG 공시 정보 이용자 73%가 '스코프3' 의무화 찬성
- 캘퍼스•NBIM 등 해외 투자자, KSSB 초안보다 강화된 공시기준 요구
- 스코프3 추정치 공시, “방법론‧근거‧가정의 합리성 갖추면 걱정할 이유 없어”
- EU EFRAG, 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내년 2분기 발표
- “ESG공시 정보 신뢰성 확보하려면...인증이 무엇보다 중요”
- [단독] 피델리티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 금융위에 ‘26년 ESG공시 의무화 촉구
- [ESG경제 포럼] 이윤수 증선위원, 지속가능성 공시 “국제적인 시행상황 고려”
- 글로벌 기업들, 재무 정보와 ESG 정보 동시에 공시 준비...투자자들도 ISSB기준 선호
- 영국, ISSB 기준 지속가능성 공시 한발짝
- ISSB, "투자자들 자연자본의 재무적 영향과 위험관리 정보 요구 크다"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