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B‧GRI‧ESRS 기준 간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가시적 진전
TNFD 공시 권고안도 주요 ESG 공시기준과 상호운용성 성과
ISSB, 자연자본 공시 기준 제정할 때 TNFD 기준 활용 계획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와 ‘자연자본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NFD)가 두 기준을 사용해 생물다양성 공시에 나서는 기업의 공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상호운용성 안내서를 발간했다.
관련기사
- GRI, EU ESRS기준 공시 연계 서비스...이중공시 부담 완화
- 캐나다 대형 연기금, 자국 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에 ISSB 기준 준수 촉구
- ESG 공시기준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활발...TNFD‧EFRAG도 공동 자료 발간
- ISSB, ESRS에 이어 GRI기준과도 상호운용성 강화
- ISSB 기준과 EU ESRS 기준 상호운용성 가이던스 나왔다
- COP 16 앞두고 떠오르는 '생물다양성' 트렌드 세가지
- 생물다양성 펀드에 투자금 몰린다...1년새 45% 늘며 5조원 돌파
- 세계은행, ISSB 기준 지속가능성 공시 로드맵 착수...블랙록 등 기업에 ISSB 기준 공시 독려
- 50년간 야생동물 개체군 73% 급감...생물다양성 손실 심화
- 기업, 생태계 영향 해소 착수...유럽 기업 적극적
- CDP 생물다양성 정보 공개 기업 지난해 43% '껑충'
- TNFD, ‘자연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초안 공개
- TNFD 자연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초안 들여다 보니...이행전략 등 5개 주제 공시 요구
- 국내기업 TNFD 공시 미흡...재무영향‧자연자본 관련 지표·목표 공시해야
- ISSB, "투자자들 자연자본의 재무적 영향과 위험관리 정보 요구 크다"
- 자연자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GRI 기준 사용
- 구찌 모기업 케링의 눈에 띄는 물 관리...협력사 참여 필수
- GRI, 기계판독 가능한 ‘디지털 지속가능성 분류법’ 출시
- ISSB, TNFD 기준 기반 자연자본 공시기준 마련...TNFD 협력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