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기업, 생태계 영향 해소 착수...유럽 기업 적극적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4.10.25 10:41
  • 수정 2024.10.25 15:33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렐리스, 기업 지속가능성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절반 이상이 대응 조치 마련
나머지 기업 절반은 계획 수립
유럽 기업 절반이 의미 있는 조치
북미 기업은 10분의 1에 그쳐

기업들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픽사베이
기업들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픽사베이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기업들이 자사의 활동이 생물다양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성 전문매체 트렐리스는 최근 공개한 ‘트렐리스 생물다양성과 기업 실태 보고서(Trellis State of Biodiversity and Business)’보고서에서 106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문가 1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절반가량이 기업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직 아무런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는 기업 중에서도 절반은 대응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생물다양성 영향 해소를 위해 소규모 조치나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기업이 25%로 가장 많았고 대응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는 기업이 24%로 뒤를 이었다.

이어 자사가 인식한 생물다양성 영향의 일부를 해소하기 위해 의미 있는 대응에 나서고 있다는 기업이 22%를 차지했고 모든 영향을 해소하기 위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기업은 4%를 차지했다.

나머지 21%의 기업은 대응 조치는 물론 대응 계획도 세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유럽 기업의 절반이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답한 반면 북미 기업은 10분의 1만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보고서는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 15)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는 기업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에 해로운 보조금 지급으로 훼손한 자연 회복에 책임이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이번 보고서는 ”기업들이 이런 과제에 응답하기 시작했다는 것으로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GBF는 2030년까지 훼손된 육상, 담수 및 연안‧해양 생태계의 30% 이상을 복원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지난 21일 콜롬비아 칼리에서 개막한 COP16에서는 GBF 이행에 대한 평가와 빈곤국의 자연 복원 재원 마련 방안, 유전정보 활용 비용 지불 시스템 구축, 원주민 보호 등이 논의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