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생물다양성 펀드 평균 수익률 올들어 11%
내달 COP16 앞두고 펀드 자금 유입 확대 기대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지난해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등 기후 관련 펀드의 수익률이 부진했으나, 생태계와 자연자본 보호 및 복원 이행 실적이 우수한 기업에 투자하는 생물다양성 펀드에 많은 투자금이 몰렸고 투자 성과도 더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삼림벌채 돈줄 끊어라"...글로벌 은행들, 투자철회 압박 직면
- COP 16 앞두고 떠오르는 '생물다양성' 트렌드 세가지
- GRI‧TNFD, 생물다양성 공시 상호운용성 안내서 발간...공시기준 호환 가시적 성과
- 바베이도스 '자연부채스왑' 체결 임박... 3억달러 보증 확정
- 유니레버‧다농 등 132개 글로벌 기업, 생물다양성 보존 노력 촉구
- TNFD, 산업별 자연자본 공시 가이던스 제시...416개 기관 TNFD 공시 약속
- EU 자연복원법, 입법 절차 완료…27개 회원국 최종 승인
- 자연자본 손실 기업 재무적 위험 요인....KRX 상장사 자연자본 재무적 위험 노출 세계 9위
- 임상준 환경부 차관, "자연자본 공시 국제 규범 될 것"
- 환경부, TNFD 자연자본 공시 가이드라인 연내 제시…국내 기준은 ISSB 기반으로
- S&P, 생물다양성 중심 S&P500 지수 출시
- 에너지 전환용 차입 증가...‘50년 정부 부채 증가분의 33% 차지 전망
- EU집행위, 삼림벌채규정 1년 연기 공식 제안
- 50년간 야생동물 개체군 73% 급감...생물다양성 손실 심화
- 국내 ESG펀드 잘 나가네...올해 평균 수익률 시장 지수 상회
- 엘살바도르, 자연부채스왑으로 부채 줄여 렘파강 보존에 사용
- COP16 개막, 재원 마련 큰 숙제...COP15 합의 이행 미흡
- 기업, 생태계 영향 해소 착수...유럽 기업 적극적
- CDP 생물다양성 정보 공개 기업 지난해 43% '껑충'
- [인터뷰] "ESG 고려한 펀드 운용, 예측가능성·리스크 관리에 확실히 도움”
- 네이처 컨저번시 등 6개 단체, 자연부채스왑 기준 개발...금융기관 참여 확대 전망
- TNFD, ‘자연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초안 공개
- 한국, '자연금융' 2030년까지 매년 5.5조 필요...3배 더 늘려야
- 생물다양성 리스크가 중요한 이유..."투자 수익률에 큰 영향" 확인
- 생물다양성 COP16 종료… 보호 기금 마련 ‘미완의 숙제'로
- ISSB, "투자자들 자연자본의 재무적 영향과 위험관리 정보 요구 크다"
- 글로벌 지속가능펀드 1분기 중 86억 달러 순유출...미국이 주도
키워드
Tags #생물다양성 #COP16 #생태계 #자연자본 #멸종위기종 #생물다양성 지수 #S&P500 생물다양성 지수 #청정에너지 #탄소배출권 #전기차 #전기차 전환 #쿤밍-몬트리올 GBF
김현경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