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국 IRA 시행으로 녹색산업 “황금기”...청정에너지 펀드 증가세로 급전환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2.08.18 13:34
  • 수정 2022.08.18 22:57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프라 부양 규모 4464억달러...민간투자 합치면 1조달러 상회 전망
EU와 중국 녹색산업 육성에 미국 가세,한국 녹색산업 업체도 수혜 예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던 2019년 6월 4일 뉴햄프셔주 플리머스시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로이터=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던 2019년 6월 4일 뉴햄프셔주 플리머스시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로이터=연합

[ESG경제=이신형기자] 최근 입법화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시행되면 전 세계 녹색산업이 “황금기”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재 한국 녹색산업 업체들도 이 법 시행의 수혜를 톡톡히 보게 될 것이라는 예상도 더해졌다. 현재 한국 녹색산업 업체들에게 가장 큰 시장은 바로 미국이다.

유진투자증권의 한병화 이코노미스트는 16일자 보고서에서 “미국의 그린부양안(인플레 감축법)은 EU의 러시아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한 그린산업 투자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배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중국이 미국의 견제에 따른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그린산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며 “글로벌 그린산업의 황금기가 온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의 부양책이 확정되지 않아 사업 추진이 지연됐던 미국의 풍력과 태양광 사업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여기에 2024년까지 착공한 단지에 대해 기존 세액공제에 더해 “보너스”가 지급될 수 있어 단기 업황 호전 강도가 클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수소산업이 ‘히든 챔피언’으로 꼽혔다. 그린수소 생산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다양한 산업에 수소를 적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수소생산과 유통 인프라가 동시에 확보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인프라 감축법의 녹색산업 부양 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청정에너지 펀드에 대한 투자심리도 급변했다.

펀드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7월 27일까지 23개 미국 청정에너지 펀드로의 자금 흐름은 2억2300만달러(약 2941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인프라 감축법의 의회 통과 보도가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빠르게 회복돼 7월 28일부터 8월 10일까지 4억336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민간투자 합치면 부양 효과 1조달러 상회

보고서는 인플레 감축법에 포함된 3690억달러(약 486조8000억원)의 녹색산업 부양안에 지난 연말 통과된 인프라 부양안을 합하면 전체 녹색산업 부양안이 약 4464억달러(약 588조9000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마련된 1조달러(약 1319조2000억원) 규모의 인프라법에도 친환경 예산이 이 포함됐다. 기후 복원에 500억달러, 청정에너지와 발전기기에 650억달러, 전기차 충전소 구축에 75억달러의 예산이 편성됐다.

한 애널리스트는 “대부분의 그린산업이 향후 10년 이상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게 되고 이에 따르는 민간 투자 금액까지 합치면 효과는 1조 달러를 쉽게 상회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전날 인플레 감축법 시행으로 미국에서 2030년까지 9500만개의 태양광 패널과, 12만개의 풍력발전용 윈드터빈, 2300개의 전력망 대응 배터리(grid-scale battery)가 설치될 것이라고 밝혔다.

풍력 발전과 상업용 태양광 발전 및 가정용 태양광 패널 설치, 지열 발전 등에 세액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주택용 태양광 패널 설치를 장려하기 위해 7500만 이상의 가구에 30%의 세액공제 혜택이 제공된다.

히트펌프나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가전제품을 구입하는 가구에 1만4000달러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전기차 구매 시 신차는 최대 7500달러, 중고차는 최대 4000달러의 세액공제가 제공된다.

다만 미국에서 조립 생산되고 배터리와 핵심 광물의 일정 비율 이상을 미국에서 생산한 경우에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중국 등 우려 국가에서 생산된 배터리와 핵심 광물을 사용한 전기차도 제외된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차종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수소 생산에는 km당 3달러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최대 수혜자는 재생에너지 산업...한국 업체도 성장동력 확대

인플레 감축법의 최대 수혜자는 재생에너지 산업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 규모는 2150억 달러로 EU나 중국에 뒤졌다. 하지만 이 법이 제정되면서 앞으로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인플레 감축법에서 태양광과 풍력발전, 지열 발전, 전력망 대응 배터리 설치를 위한 세액공제 지원을 위해 편성된 예산은 1280억 달러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 장치와 배터리 제조를 위한 생산세액공제 예산도 370억 달러가 편성됐다.

하지만 한 애널리스트는 지난 연말 나온 인프라 부양안까지 고려할 경우 지원액이 185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10년 이상의 세액공제를 받고, 전력망 투자에 정부가 예산을 직접 집행하고, 기후 금융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에 이어 친환경자동차 산업이 두 번째로 큰 수혜 업종으로 꼽혔다.

자동차 구매시 제공되는 세액공제 예산은 250억 달러지만 여기에 충전 인프라 투자와 친환경차 생산설비 신설 보조금을 더하면 지원액이 537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수소 산업 지원 예산은 225억 달러로 그린수소 생산 세액공제와 교통, 발전, 상업용 수소 허브 구축에 사용된다. 이와 함께 탄소포집 설비 구축과 이용에 189억 달러가 투입된다.

원전에도 392억 달러가 투입되나, SMR 개발 지원에 사용될 32억 달러를 제외하면 대부분 기존 원전 수명연장과 운영비 보조에 사용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녹색산업 업체들도 인플레 감축법의 수혜자가 될 전망이다.

한 애널리스트는 “현재도 미국이 국내 그린산업 업체들에게 가장 큰 시장이지만, 이번 그린부양안 확정으로 향후에는 수혜가 더 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