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액계약제도 경매 예산, 해상풍력 3억 늘려 11억파운드 배정
재생에너지 전력 단가를 정부가 보장해 전력가격의 불확실성 해소
이달초 취임 노동당 신임 스타머 총리, 2030 전력부문 탈탄소화 공약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영국 정부가 올해 시행되는 재생에너지 차액계약제도(CfD) 경매 예산을 이전 정부 대비 50% 증액해 15억 파운드(약 2조 6590억원)로 늘린다.
영국 정부는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달 초 취임한 노동당 소속 키어 스타머 신임 총리는 재생에너지를 급격히 확대해 2030년까지 전력 부문을 탈탄소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육상풍력은 두배, 태양광발전은 3배, 해상풍력은 4배로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영국이 시행 중인 차액계약제도(CfD)는 재생에너지 전력 단가를 정부가 보장해 전력가격의 불확실성을 해소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위해 지난 2014년 도입됐다. 5MW(메가와트)급 이상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CfD 경매에서 낙찰된 재생에너지 사업자는 CfD 계약 체결을 통해 전력 단가를 15년간 보장받을 수 있다. 경매를 통해 기준가격(Strike Price)이 정해지면 전력도매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정부가 사업자에 차액을 지급하고, 반대의 경우 사업자는 정부에 추가 이익을 반환한다.
영국 정부는 올해 예산 중 11억 파운드가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배정됐으며, 지난 경매 대비 3억 파운드가 증액됐다고 밝혔다.
이외 육상풍력과 태양열 발전 등 기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1억8500만 파운드가 배정됐고, 부유식 해상풍력과 조력 등 신기술 프로젝트엔 2억7000만 파운드가 배정됐다. CfD 경매는 오는 8월에 시행될 예정이다.
에드 밀리밴드 에너지 안보 및 넷제로 장관은 올해 경매에 역대 가장 큰 예산이 할당됐다면서 “이는 영국을 녹색기술에 대한 세계적인 리더로 회복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독립성을 높이고 소비자를 보호하며, 청정에너지 초강대국이 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영국 정부는 지난 25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투자하거나 소유, 관리할 신규 국영기업 ‘그레이트 브리티시 에너지(Great British Energy)’ 설립 추진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최대 20~30GW의 신규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 韓 RE100 기업 재생에너지 비중 고작 8%...세계 '꼴찌' 수준
- 독일 태양광 발전 34% 급증…수요는 1% 늘어 가격 폭락 불가피
- 옐런 “기후 투자는 21세기 최대 경제적 기회”...AI 투자 앞질러
- 영국, 국영 재생에너지 개발 기업 출범…향후 5년간 107억 달러 투자
- 바클레이즈 “영국 정부, 기후테크 기업들에 더 많은 자금 조달해야”
- 토탈에너지, RWE 네덜란드 해상풍력 지분 50% 인수…청정수소 생산에 투입
- EU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전망..."올 평균 가격 톤당 67.2유로"
- 재생에너지 경매제도 잘 작동하려면...정부 충분한 물량확보가 관건
- 영국 노동당, 청정에너지 강국 공약...대규모 육상풍력 발전 사업 추진
- EIB, 도이치뱅크에 풍력분야 5억유로 '복보증'...11.8조원 민간투자 유발
- 50조원 초대형 해상풍력 입찰시장 열린다...원전 8기 맞먹는 규모
- 한화큐셀 등 미 태양광 패널업계, 베트남‧태국산에 관세 소급부과 요구
- 독일 실시간 전력 가격 한때 마이너스 기록...재생에너지 영향
- 덴마크, 해상풍력 '에너지 인공섬' 완공 '36년으로 연기...비용 상승탓
- 해리스 경제정책 자문위원, 청정에너지 마샬 플랜 제안
- 영국, 풍력발전 용량 30GW 달성...재생에너지 비중 46.4%
- 영국 정부, 150MW 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 승인
- 올해 태양광 설치용량 593GW 늘어…전년 대비 29% 증가
- 상반기 육상풍력 터빈 수주 23% 증가… 중국 제외 시 감소
- 영국, 향후 25년간 탄소 포집ㆍ수소기술에 284억 달러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