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 해상풍력 대규모 구조물 완공, '33년서 최소 3년 연기
“약 40조원의 예상투자금 초과...약 10조원 더 필요”
초기 3GW 발전...유럽 300만가구 소비전력 충당 규모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덴마크 정부가 자국 영토 인근 북해에 추진중인 해상풍력 발전 ‘에너지 인공섬’ 완공 일정을 3년 연기해 이르면 2036년까지 지을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당국은 고금리 시장 환경과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인한 건설비용 상승으로 완공 일정을 연기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이날 덴마크의 라스 아가르드(Lars Aagaard) 기후에너지부 장관은 에너지섬 건설 비용이 당초 예상한 투자금 약 2000억데니쉬크라운(약 39조 9000억원)를 초과해 추가적으로 500억 크라운의 국비 지원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에 따르면 지난해 덴마크는 국가 전체 소비전력의 57.7%를 풍력발전으로 충당한 재생에너지 강국이다. 특히 글로벌 해상풍력 대기업 베스타스(Vestas)와 외스테드(Orsted)가 모두 덴마크 기업이다.
덴마크의 북해 에너지 인공섬 프로젝트는 지난 2021년 2월 최초로 발표됐다. 당국은 북해 유틀란트 반도 해안에서 80km 떨어진 해상에 풍력발전기 200대와 이를 운영하기 위한 시설로 구성된 약 12만제곱미터(약 3만6000평)의 에너지 인공섬 건설을 민관합작으로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덴마크 정부는 당초 인공섬을 2033년까지 유럽 300만 가구의 소비전력을 충당할 수 있는 최소 3기가와트(GW) 규모로 완공하고, 이후 발전 규모를 순차적으로 확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덴마크 정부는 높은 건설 비용으로 인해 해상풍력 입찰 개시를 연기했고, 비용 절감을 위한 대안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아가르드 장관은 이번 완공 연기 결정을 발표하면서 당초 인공섬 건설을 위한 벨기에와의 협력은 더이상 진행이 어려우며, 자금 조달 등을 위해 독일과의 새로운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풍력발전 업계는 막대한 초기투자 비용이 드는 사업 구조 특성상 고금리, 고물가 시장 환경에 취약한 탓에 역풍을 맞았다. 또한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등 발전사업 수익성이 약화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기사
- 50조원 초대형 해상풍력 입찰시장 열린다...원전 8기 맞먹는 규모
- 바이든 정부, 전력망 보강 3조원 투입...해상풍력 계통접속 추진
- 영국, 재생에너지 단가 보장 예산 50% 증액…올해 총 2.7조원 집행
- 영국, 국영 재생에너지 개발 기업 출범…향후 5년간 107억 달러 투자
- 해상풍력 발전..."바다 생태계 피해 예상외로 적을 수도"
- "EU,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66%"...4월 화석연료 비중 사상 최저
- 한국 해상풍력, 일자리 77만 개 창출...87조원 투자 창출할 것
- 프랑스, 해상풍력 발전 확대에 박차…'35년까지 6배 확대 목표
- 美, 여덟번째 해상풍력 프로젝트 승인… ‘30년 목표 1/3 도달
- 중국, 재생에너지 1200GW 확충 목표 6년 앞당겨 달성
- 오스테드 이어 에퀴노르도 베트남 해상풍력 사업 손뗀다
- 주요국 금리 인하, 재생에너지 산업에 긍정적 영향 전망
- 노르웨이 국부펀드, 재생에너지·관련 인프라에 1.3조원 투자
- 전세계 소비전력 40%가 무탄소 전원...풍력∙태양광 14% 차지
- 영국, 풍력발전 용량 30GW 달성...재생에너지 비중 46.4%
- 독일, 재생에너지 전력망 추가비용 전국 공동분담 추진
- 전기연, 풍력발전기 겨울낙뢰 예방기술 개발..."재생E 보급 확대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