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너지국, 태양광+풍력 누적 용량 1206GW 집계
‘20년 시진핑 주석 내세운 2030 목표 조기 달성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중국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최소 1200기가와트(GW)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6년이나 앞당겨 달성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이 최근 발표한 전력산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까지 중국의 누적 태양광 및 풍력 발전용량은 총 1206GW로 집계됐다. 누적 태양광 발전용량이 735GW, 풍력 발전용량이 470GW다.
에너지국은 7월 기준 태양광발전 용량이 전년 대비 49.8% 증가했고, 풍력 발전은 19.8%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런 공격적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세계 온실가스 배출국 1위 중국의 석탄 화력발전 비중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5월엔 석탄 발전 비중이 53%로 역대 최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지난 7월엔 중국 동부의 폭염에 따라 총 전력 소비량이 역대급 수요에 달한 와중에도 태양광 발전과 수력 발전이 전례없는 발전량을 보이며 석탄 발전 비중이 65%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71%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로, 절대적인 발전량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은 아직 국가 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석탄 발전에 의존하고 있고,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비중이 현재 약 14%에 그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따라서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요동치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와 지역적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전력망과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대한 대규모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1일 경제 사회 전반에서 대대적인 녹색전환을 가속화하기로 하면서 2030년까지 비화석에너지 소비 비중을 25%까지 늘리고 에너지 절약·환경보호 산업을 15조위안(약 2855조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선언했다.
관련기사
- 중국 올 상반기 석탄 발전소 인허가 80% 감소...전력부문 전환기 진입?
- 브라질도 전력망 대란, “재생에너지 확대에 장애물”
- 덴마크, 해상풍력 '에너지 인공섬' 완공 '36년으로 연기...비용 상승탓
- 호주, 세계 최대규모 '태양광 발전 허브' 짓는다...경제효과 18조원
- 중국, 폭염 따른 역대급 전력 수요에도 석탄발전 줄였다
- 독일 실시간 전력 가격 한때 마이너스 기록...재생에너지 영향
- 중국의 석유 소비 둔화...OPEC·IEA 석유 수요 전망치 낮췄다
- 중국산 태양광 모듈‧배터리 공급 과잉 완화 조짐
- 중국, 경제·사회 '녹색전환' 가속화... ’30년 청정 에너지 비중 25%로
- 독일 태양광 발전 34% 급증…수요는 1% 늘어 가격 폭락 불가피
- 주요국 금리 인하, 재생에너지 산업에 긍정적 영향 전망
- 노르웨이 국부펀드, 재생에너지·관련 인프라에 1.3조원 투자
- 전세계 소비전력 40%가 무탄소 전원...풍력∙태양광 14% 차지
- 영국, 풍력발전 용량 30GW 달성...재생에너지 비중 46.4%
- 독일, 재생에너지 전력망 추가비용 전국 공동분담 추진
- 자라 설립자도 재생에너지 투자...지난해 1조원 이상 투자
- 영국 정부, 150MW 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 승인
- 중국, 전세계 신규 석탄 프로젝트 절반 보유
- 중국, 연내 철강‧시멘트‧알루미늄 산업 ETS 적용 계획
- 열배터리 관심 고조...샘 올트먼 투자 엑소노트, 1.2GW 수요 확보
- 상반기 육상풍력 터빈 수주 23% 증가… 중국 제외 시 감소
- 英, G7 최초 석탄 화력발전 종료…142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 美, 중국 우회수출 동남아산 태양광 패널 부품에도 관세 부과
- 재생에너지 3배 확충하려면 세계 연간 1.5조 달러 투자 필요
- 중국 탄소배출권 사상 최고가 경신… 올초 대비 35% 상승
- 中, 올해 전력망에만 129조원 투자...역대 최대 규모 투자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