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네스테社 바이오항공유 공급…정부, SAF 품질기준 마련

[ESG경제=홍수인 기자] 폐식용유나 생활(음식)폐기물 등으로 만든 친환경 항공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비행기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범 운항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천∼로스앤젤레스(LA) 노선을 운항하는 대한항공 화물기에 바이오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급유해 3개월간 시범 운항을 한다고 5일 밝혔다.
SAF는 '지속가능항공유'라는 의미로 기존 화석연료 기반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으며 기존 항공유와 혼합 사용도 가능하다. 첫 시범 운항 비행기는 5일 오후 5시 45분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대한항공 KE207편(B777F)이다.
대한항공은 우선 SAF를 2% 섞은 항공유를 급유, 한 달에 2차례씩 3개월간 총 6차례 시범 운항한다. 시범 운항에 사용되는 SAF는 대한항공과 바이오항공유 실증 추진 협약을 맺은 GS칼텍스가 공급한다.
GS칼텍스는 세계 최대 바이오연료 생산기업인 핀란드 '네스테(NESTE)‘사가 생산한 바이오항공유를 국내 최초로 공급받아 대한항공 화물기에 공급한다. 이 제품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등 국제 품질 기준을 충족했다.
정부는 지난 6월 민관합동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SAF 사용을 경정했으며, 이 계획에 따라 국토부, 산업부,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 한국석유관리원, GS칼텍스와 항공사 지상조업사인 한국공항이 시범 운항에 필요한 항공기·운항노선을 선정하고 SAF 급유·운항절차 등을 마련했다.
현재 세계 각국의 바이오항공유 사용 현황을 보면 프랑스는 작년부터 항공유에 SAF를 1% 섞어 사용하도록 의무화으며, 유럽연합(EU) 차원에서는 오는 2025년부터 SAF를 2% 혼합하도록 한 뒤 비율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탄소배출 주역' 항공유 대체할 '바이오항공유' 개발 시급
- 대한항공, 화물고객사와 '지속가능항공유(SAF)' 협력프로그램 도입
- 구글,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확대 노력에 가세
- 하늘에서도 ‘탄소 줄이기 경쟁’...한국 항공사 ‘발등의 불’
- EU, 항공사 탄소배출 무상할당 폐지 수순
- 델타항공, 탄소배출 줄이는 항공 운항 개시...SAF 연료 계약 체결
-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 항공기 미래 연료 될까?
- GS칼텍스·HMM, 바이오선박유 넣은 컨테이너선 첫 시범운항
- ‘5성 호텔급 대한항공’…항공사 등급평가서 7년 연속 '5성 항공사’
- GS칼텍스, 車플라스틱 재활용소재 탄소발자국 제3자 검증 완료
-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 팜유 섞은 항공유로 첫 상업비행 성공
- 팜유 혼합 SAF는 지속가능할까?... '국내, 독자적 원료 확보 필요'
- ‘100% 친환경 항공유’ 넣은 여객기, ‘런던~뉴욕’ 대서양 첫 횡단
- 美, ‘지속가능 항공유’에 보조금…한국 정유업계에 영향
- 지속가능항공유(SAF) 공급 부족, 항공사 기후 목표 위협
- [ESG기업브리핑] 대한항공, 佛 물류기업과 지속가능항공유 파트너십 외
- [ESG기업브리핑] 현대건설, 의정부 현장서 폭염대책 실태 점검 외
- 대한항공, 15일부터 일반석 컵라면 제공 중단…"난기류 화상사고 방지"
- [ESG정책브리핑] ‘27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 SAF 1% 혼합 의무화
- GS칼텍스, 지속가능항공유 'CORSIA SAF' 일본에 첫 상업 수출
- 대한항공 '2024 부모님 초청행사'…코로나 후 5년만에 재개
- GS칼텍스, '2024 메세나대상'서 대상 대통령 표창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