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주요국 ESG자산 14% 감소”...엄격해진 기준이 원인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3.12.07 17:18
  • 수정 2023.12.08 11:26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SIA, 지속가능투자 대해 강화된 기준 적용한 ESG 자산 규모 발표
ESG 관련 글로벌 투자자산 규모 35조 달러에서 30조 달러로 줄어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가 지난달 29일에 발표한 최신 보고서. 제공=GSIA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가 지난달 29일에 발표한 최신 보고서. 제공=GSIA

[ESG경제=김현경 기자] ESG 투자 상품의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을 막기 위해 강화된 지속가능투자 기준을 적용하자 지속가능투자 자산 규모가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속가능금융상품에 대한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종전에 지속가능투자 자산으로 분류됐던 일부 자산이 제외됐기 때문이다.

캐나다의 ESG 전문 매체 코퍼릿나이츠에 따르면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제6차 글로벌지속가능투자리뷰(GSIR)’를 통해 미국, 유럽연합(EU) 등의 강화된 투자기준을 적용했더니 회원국의 지속가능투자자산 규모가 14% 감소했다고 밝혔다. GSIA 회원국은 미국과 EU,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이다.

격년 발행되는 GSIR은 지난 제5차 보고서에서 회원국의 지속가능투자 자산 규모가 35조 3000억 달러(약 4경 6000조 원)로 집계되었으나, 강화된 기준을 반영한 이번 보고서에서는 30조 3000억 달러(약 4경 41조 원)로 줄었다.

제임스 알렉산더 GSIA 의장은 “글로벌 지속가능금융 산업은 보다 명확한 공시 규정 및 라벨링 제도의 도입으로 계속해서 성숙해지고 있다”며 "이런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투자가 어떻게 정의되는지 명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ESG투자 기준 강화… 지난 9월 관련 핵심 용어 재정리

GSIA가 밝힌 전반적인 지속가능투자 규모 감소엔 미국의 영향이 크다. 강화된 기준에 따른 미국의 지속가능투자의 규모는 ‘20년도에 집계된 17조 달러에서 ‘22년도 8.4조 달러로 대폭 감소했다. 반면 유럽과 일본의 지속가능투자 규모는 소폭 증가했다. 

미국 지속가능투자포럼(US SIF)의 마리에 레티니 CEO는 ‘ESG 통합(ESG integration)’에 대한 기준 강화가 투자 규모 위축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ESG 통합은 투자 결정 과정에 있어 ESG 요소를 지속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기업의 ESG 통합 선언을 액면 그대로 수용하고 반영한 과거와 달리, 이번 보고서에서는 “전사적 ESG 통합을 실행한다고 주장하지만, 구체적인 ESG 세부 기준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기업들의 자산은 제외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GSIA는 ESG 투자 결정과 관련해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와 용례를 정리해 통합한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개정된 가이던스에 따라 “투자 분석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ESG 요소를 지속적으로 고려하는 경우에만 ESG 통합 자산으로 계산된다"고 코퍼릿나이츠는 보도했다. 이에 따라 2022년 전체 투자에서 지속가능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대비 14%p 하락하면서 24%로 축소됐다. 미국의 경우 20%p 하락한 13%로 줄었다.

GSIA는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 CFA 인스티튜트와 합작해 이 가이던스를 마련했다. 또한 ESG 통합, 스튜어드십, 스크리닝 등과 같은 ESG 투자에 자주 활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정의하고, 용어를 정의하는 데 활용한 요소도 제시했다. 

GSIA가 발간한 책임투자 관련 용어 지침. 제공=GSIA 
GSIA가 발간한 책임투자 관련 용어 지침. 제공=GSIA 

GSIA는 “일관되고 정확한 용어 사용을 장려하는 것은 그린워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며 투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용어를 정확하게 구분하고 모호한 용어들을 조화시키는 작업은 “ESG 통합 및 임팩트 투자와 같은 접근 방식의 목표를 명확하게 차별화해 책임 투자 전략의 목표에 대한 혼란을 방지한다"고 설명했다.

GSIA 전 의장이자 호주 책임투자협회 시몬 오 코너 CEO는 “전 세계 지속가능투자업계와 규제당국이 ESG 투자 라벨링과 공시 기준 마련에 있어 이 지침을 채택해 지속가능투자의 투명성과 지속성이 제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