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클린허브’, 글로벌 그린워싱 벌금 ‘탑9’ 공개
도이치자산, 골드만삭스, 뉴욕멜론은행 등 ESG투자 과장
1위는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총 347억 달러 벌금 물어
“앞으로 규제 강화로 더 많은 사례 적발될 것”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기업의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그린워싱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벌금을 낸 9개 기업이 공개됐다. 여기에는 글로벌 금융사 3곳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유럽증권시장청, SDG펀드 “임팩트워싱” 우려 제기
- EU, 친환경 표시 제품 ‘그린워싱’ 규제 지침 의회 통과
- “주요국 ESG자산 14% 감소”...엄격해진 기준이 원인
- 글로벌 투자자 94%, “ESG 공시 ‘그린워싱’ 소지 있다”
- 글로벌 은행 그린워싱 사례 70%나 급증한 까닭은?
- 美 SEC, 펀드 ‘그린워싱’ 단속 강화...'80% 룰' 엄격 적용
- 자산운용업계, 유럽서 ESG 라벨 없이는 펀드 팔기 힘들어져
- 코카콜라, 스위스서 고소당해…"근거 없이 친환경 광고"
- 패시브 ESG 펀드 중 70%, 화석연료 개발 기업에 투자
- 기후솔루션, 한전 글로벌 녹색채권은 "그린워싱"... 한전, "사실 아니다"
- 네덜란드 법원, KLM 그린워싱 인정
- 영국, 5월 31일부터 그린워싱 단속 규칙 시행
- ESMA, ESG펀드 라벨링 규제 확정… 지속가능투자 비율 최소 80%
- 지난해 전세계 기후소송 230여건...전년대비 40여건 감소
- "홍보만 하는 ESG는 끝...임팩트 투자 실재화 단계"
- ESG 점수 높을수록 펀드수익률도 높아..."주주관여 전략 적중”
- 토요타 자회사 히노, 디젤엔진 배출량 조작 인정… 16억弗 지불 합의
키워드
Tags #그린워싱 #ESG경영 #폭스바겐 #토요타 #도이치자산운용 #골드만삭스 #뉴욕멜론은행 #클린허브 #큐리그 #ESG투자 #ESG라벨링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 #ESG 80%룰
김현경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