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내년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에 2.7조 투자...무탄소 에너지 최고 비중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4.12.16 11:35
  • 수정 2024.12.16 11:3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탄소 에너지 기술개발 투자 5300억원으로 약 20% 차지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기록...2년간 기술 개발 추가 지원

과기정통부 로고. 사진=연합뉴스
과기정통부 로고.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을 포함한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에 내년 2조7496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올해 투자액 2조6463억원보다 3.9% 늘어난 규모다.

이중 재생에너지 기술을 포함한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 예산이 530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이행을 위한 2025년도 시행계획’을 이같이 수립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은 지난해부터 시작해 2032년까지 10년 동안 추진된다.

시행계획은 ▲무탄소 기술 개발 지원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 대응기술 핵심 생태계 조성의 3개 전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탠덤 대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기록...2년간 추가 지원

무탄소 기술 개발에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부상하는 ‘삼중접합 탠덤 태양전지’ 개발과 초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핵심기술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과 안정적인 원전 운전을 위한 기술, 차세대 배터리,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기술, 파력발전,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에너지 유연화 시스템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김태영 과기정통부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장은 ESG경제에 “무탄소 기술 개발 예산이 530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해 236개 사업에 투자해 삼중접합 탠덤 태양전지가 세계 최고 효율을 기록했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 및 수소 생산 성능을 달성하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김 과장은 탠덤 전지 개발을 위해 앞으로 2년간 추가적인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적응 기술 지원 사업에는 생태계 회복력 강화와 감염병 예방과 치료, 확산 억제를 위한 진단 시약과 백신, 치료제 기술 개발이 내년부터 추진된다.

이와 함께 자연 생태계 회복력 강화, 지속가능한 물 순환 구축을 통해 자연 생턔계 변화 최소화, 과학기술 기반의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술 고도화, 재난재해 관리 등도 포함된다.

기후변화 대응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사업은 기후기술 산업 활성화와 확산을 위한 투자 및 제도적 지원, 인재 양성 및 활용, 국제사회와의 공동 협력, 기후기술 육성 정책 역량 강화 등을 담고 있다.

[표]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기본방향

자료=과기정통부
자료=과기정통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