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재생에너지 투자와 신규 시설의 PPA로 '전환 비용' 충당 가능
"신흥국 전환자원 부족...자선단체기금, 전환위한 거래 유동성 창출 기회"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신흥국에서 가동되고 있는 800개 이상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수익성을 유지하면서 2030년대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소로 전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관련기사
- IEA, 올해 청정에너지 투자 2조달러...화석연료 투자 2배
- LNG발전 '양날의 칼'..."좌초자산만 키운다" vs. "에너지 전환과정에 필요"
- "EU,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66%"...4월 화석연료 비중 사상 최저
- "35년 이후 석탄발전소 이용률 50% 미만...보상으로 조기 폐지 유도해야"
- EU, 화석연료 메탄 배출 규제...세계 최초로 수입 화석연료도 규제
- 호주 2위 연기금, 석탄산업 직접 투자 중단 선언
- G7,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 인도, 재생에너지의 새로운 메카로?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단지 건설
- 영국 대법원 "유전 개발 시 기후변화 영향 고려해야"...획기적 판결
- EU 발전사 녹색투자, 녹색채권 발행과 활용의 "성공적인" 사례
- [주간해외ESG] EU, 기후대응기술 전문가 양성할 넷제로 아카데미 출범 외
- EU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5% 기록...회원국 간 협력 강화
- "미국, 2032년이면 풍력·태양광발전이 전체 발전량 45% 차지"
- ISO, 글로벌 탄소중립 기준 마련…내년 COP30서 공개
- 이집트, 10GW 육상 풍력발전단지 짓는다…100억 달러 이상 투자
- 유럽도 전력망 구축 비상...수백 GW 풍력발전 연결 허가 대기중
- 글렌코어, 석탄사업 분사 계획 백지화..."화석연료 수익 포기 못해"
- IFC, 시티와 지속가능 '공급망 금융' 맞손...신흥시장 중기 2.7조원 지원
- 세계 청정에너지기술 시장 7000억달러 돌파...‘35년엔 2조달러 규모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