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FA, EU 발전사 녹색채권 발행으로 에너지 전환 추진
녹색채권 많이 발행하는 12개 발전사 지속적으로 자금 활용 사례 보고
올해 도입될 EUGBS에 일부 부합하는 자체 프레임워크도 마련
법무법인 화우, 국내 기업도 해외 녹색자금 조달 위해 EUGBS 면밀히 검토 필요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EU 유틸리티 기업들이 녹색채권 발행과 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성공적인 사례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기사
- LS일렉트릭, 당진 태양광발전소 수주...국내 간척지 발전소 중 최대
- 재생에너지 사용 이중계산의 문제..."방치하면 기업 불신 초래"
- IEEFA “신흥국 800개 이상 석탄화력발전소 수익성 있게 폐쇄 가능”
- 자원 빈국 일본, “재생에너지로 이르면 ‘60년 에너지 독립”
- 프랑스 재생에너지 업계, 조기 총선 앞두고 우려감 고조
- "태양광 패널 생산 능력 수요 2배 초과...기후 목표 달성에는 긍정적"
-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정당 의석 늘어...기후정책 영향은?
- IEA, 올해 청정에너지 투자 2조달러...화석연료 투자 2배
- IEA, ‘30년 재생에너지 3배 확충 서약… 현재 이행 수준이면 70% 달성
- 중국, ’27년까지 ‘탄소발자국 관리 시스템 구축...ETS 적용 대상 확대
- EU, 저소득 회원국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32억 달러 투자
- EU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5% 기록...회원국 간 협력 강화
- "미국, 2032년이면 풍력·태양광발전이 전체 발전량 45% 차지"
- EPP, ‘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금지 'EU 규제' 개정 추진
- 모건스탠리,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증가로 녹색채권 발행 급증 전망
- 지난해 전세계 녹색채권 발행 5400억달러 돌파… 전년대비 7% 증가
- 녹색경제, 최근 10년간 모든 산업부문 중 두번째로 수익률 높아
- 인도 증권거래당국, 지속가능 금융 프레임워크 확대
- EU, 배출목표·택소노미 개선 요구 직면...환경단체들 소송제기
- SFDR, 전환금융 확대 개편···ESG펀드 석유·광산주 투자 늘었다
- 미국 기업, 녹색채권 발행액 30% 부채 상환에 사용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