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G7,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 기자명 박가영 기자
  • 입력 2024.04.30 12:34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일본, 석탄 의존도 높아
러시아산 LNG 수입 제한도 검토

2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북부 토리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에 참석한 각국 장관과 대표단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ESG경제신문=박가영 기자] 주요 7개국(G7)이 늦어도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기로 합의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북부 토리노에서 진행중인 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에서는 2030년대 전반기, 늦어도 2035년까지는 석탄화력 발전소를 폐쇄하기로 합의가 이뤄졌다.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질베르토 피체토 프라틴 이탈리아 에너지부 장관은 “기술적 합의가 이뤄졌으며 30일에 최종적인 정치적 합의를 마무리할 것이다”고 밝혔다. 장관들은 30일 이번 합의에 대한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피체토 장관은 또한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가 단기적으로 제안할 예정인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의 잠재적 제한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문제는 (G7의) 기술적, 정치적 의제에 관한 것"이라며 "우리는 최종 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최종적인 합의가 진행된 뒤 더욱 자세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개최된 제28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COP28)에서는 석탄 화력연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방향으로 합의가 이루어진 바 있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합의가 COP28에서의 합의 이후 이루어진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이탈리아의 기후변화 싱크탱크 ECCO의 공동 창립 멤버인 루카 베르가마스키는 엑스에 "특히 일본, 더 넓게는 중국과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전체 석탄 경제에서 청정 기술로의 투자 전환을 가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에슈바일러 석탄 화력발전소의 모습. 로이터=연합
독일 에슈바일러 석탄 화력발전소의 모습. 로이터=연합

G7 국가 중 이탈리아는 6기의 석탄 화력발전소를 통해 전체 발전량의 4.7%를 생산했다. 이탈리아는 2028년이 기한인 사르데냐섬을 제외하고 2025년까지 나머지 5기를 폐쇄할 계획이다.

하지만 독일과 일본은 석탄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지난해에는 전체 전력 중 25% 이상을 석탄을 통해 생산했다. 2023년 독일 전체 전력 소비에서 석탄은 갈탄 17%, 무연탄 9% 총 26%로 53%인 재생에너지 다음으로 많았다. 일본은 무려 30% 가까이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회의에서는 G7 국가들이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명확한 시점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피케토 장관은 ”발전 및 운송의 탈탄소화를 위해 원자력과 바이오연료가 중요하게 다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원자력과 관련된 합의에서는 대립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23년 마지막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한 독일은 원자력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G7 분야별 장관 회의는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앞서 3월부터 진행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는 4월 28일~30일 진행된다. 한국은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초청 받지 못했다.

그래프=기후솔루션
그래프=기후솔루션

글로벌에너지모니터(이하 GEM), 시에라클럽(Sierra Club) 등 세계 환경 단체와 공동발간한 연례 글로벌 석탄발전 추이 보고서 ‘석탄의 경제 대전환 2024(Boom & Bust Coal 2024)’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1GW의 신규 석탄 발전 용량을 추가했다. 한국은 2021년 이후 석탄화력발전 용량이 매년 증가했으며, 지난해 발전 용량은 40GW로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