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美 기업들 ESG 공시 잰걸음...대기업 85%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4.11.01 18:46
  • 수정 2024.11.01 23:26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이터, 공화당 반ESG 공세에도 공시 기업 급증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5년 새 54%나 늘어나
인종이나 젠더 다양성 정보 공개 기업도 늘어

국내 대부분 기업은 ESG 공시 자료인 지속가능성보고서 제작을 외부 대행사에 위탁하고 있다.  
지속가능성 공시에 나서는 미국 기업이 2019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미국 공화당 중심 보수진영의 반ESG 공세 속에서도 지속가능성 공시(ESG 공시)에 나서는 미국 기업이 크게 늘었다고 로이터통신이 31일 보도했다.

ESG 투자 자문사 HIP 인베스터(HIP Investor)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대기업의 85%가 세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공개했다. 2019년보다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 기업이 54%나 증가했다.

인종이나 젠더 다양성 정보 공개도 크게 늘었다. 다양성 데이터를 추적하는 다이버IQ(DiverIQ)에 따르면 S&P500 지수 편입 기업 중 올해 9월1일 현재 임직원의 인종과 성별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 기업의 비중이 82.6%에 달했다. 지난 2019년에는 이런 정보를 공개한 기업이 5.3%에 불과했다.

ESG 요소를 중시하는 투자자들은 각국 규제당국에 지속가능성 공시를 조속한 시일내에 의무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로펌 A&O 셔먼의 켄 리브린 파트너 변호사는 로이터에 유럽연합(EU)의 기업지속가능성공시지침(CSRD)과 같은 규제 도입의 영향으로 지속가능성 정보 공개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보 공개와 함께 다수의 기업들이 기후 목표 달성과 임금 격차 해소,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별 해소 등을 약속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정치적 변화에 따라 쉽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리블린 변호사는 ”반ESG 또는 친ESG 뉴스에 반응하며 기업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성공을 위한 방법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의 벤 콜튼 스튜어스십 책임자는 ”지난 5년간 E(환경)와 S(사회) 문제에 대한 정보 공개가 극적으로 증가했다“며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대선 결과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어느 당이 백악관과 의회 다수석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ESG 투자를 제한하거나 활성화하는 정책이 나올 수 있어서다.

콜롬비아대학 경영대학원의 시바 라즈고플 교수는 “많은 기업의 경영진이 11월5일 실시되는 미국 대선을 예의주시한 뒤 구체적인 접근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 금융위원회도 ESG공시 로드맵 발표를 미 대선 이후로 미뤄놓은 상태다.

하지만 그는 지속가능성 정보 공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대부분의 기업이 ESG 문제에 노출돼 있다”며 “기업들의 10K에서 위험 요소를 따져보면 E와 S의 문제가 수두룩하다”고 말했다. 10K란 미국 상장기업이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해야 하는 공시 양식으로 한국의 사업보고서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