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상반기 전기로 설비만 승인...석탄 고로 승인 전무
전기로 사용으로 2026년까지 철강산업 탄소배출량 2억톤 감축
전기로 사용 조강 생산 확대 목표 세웠으나 진전 더뎌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중국이 오는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로 설비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는 이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중 중국 정부는 석탄 기반 고로 제철소 설립을 단 한 건도 승인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지방정부는 상반기 중 7100만톤 규모의 조강 설비 신설을 승인했는데, 모두가 철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였다.
보고서는 중국이 철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사용을 통해 2026년까지 철강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2억톤 감축할 수 있다며 이는 EU 철강 산업 전체의 탄소 배출량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EU CBAM 도입을 앞두고 중국 철강 산업의 탈탄소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철강 산업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8%를 차지하고 중국은 전 세계 철강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CBAM이 본격 시행되면 EU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철강제품의 가격이 11%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신이 센은 “EU에 수출하는 중국 철강기업은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제품의 탄소집약도 낮추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BAM이 시행되면 철강과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전력, 화석연료로 생산하는 수소의 6개 탄소 고배출 업종의 수입품에 대해 EU 배출권거래제(ETS)를 통해 거래되는 탄소 배출권 가격 수준으로 제품에 내재된 탄소배출량에 대한 비용이 부과된다. EU보다 탄소 배출 비용을 적게 지불하는 지역의 기업에게 배출 비용의 차이만큼의 비용을 부과하는 것이다.
비용은 수입업자가 ‘CBAM 인증서(credit)’를 구매해 제출토록하는 방식으로 지불한다.
인증서 가격은 EU ETS의 배출권 경매가격의 주당 평균가격에 연동돼 결정된다. 수출업자가 원산지의 ETS와 같은 탄소가격제도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 비용을 지불한 경우 소명을 통해 일부 또는 전액을 공제 받을 수 있다. 원산지에서 온실가스 배출 비용을 많이 지불하면 공제액이 커진다.
중국 연구기관인 글로벌 탈탄소화 진전 연구소(IGDP)는 지난 주 CBAM이 시행되면 2030년까지 중국 철강산업이 EU에 지불해야 하는 부담금이 최대 59억위안(약 1조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소는 석탄 기반 고로로 생산한 철강제품은 2030년까지 톤당 250위안의 부담금을 지불해야 하지만 철스크랩 기반 전기로로 생산한 제품은 부담금을 내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기로 사용 조강 생산 목표 진전 더뎌
로이터의 3월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2025년까지 전기로를 사용한 조강 생산 비중을 15%로 높이고 2020년대 말까지 20%로 한 단계 더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컨설팅사 우드 맥킨지의 데이비드 카쇼 이사는 지난해 전기로를 이용한 조강 생산이 10%로 2022년의 9.7%에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미국의 싱크탱크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EM)는 보고서를 통해 전기로를 이용한 조강 생산 비중을 15%로 높인다는 목표를 야심찬 목표로 보기 어렵지만 이 정도의 목표만 달성해도 중국 철강산업의 탄소 배출량을 8.7%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기로의 탄소 배출량이 석탄 기반 고로보다 약 38% 적기 때문이다.
하지만 GEM 보고서의 공동저자인 제시 지는 철 스크랩 공급이 제한적이고 전기로 가동을 위한 전력 공급도 원활하지 않아 전기로 가동이 원활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중국의 전기로에서 조강 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원료인 철 스크랩의 대부문이 고로에서 생산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전기로 사용을 늘려 탄소 배출량을 줄이려면 원료 생산 단계에서부터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직접환원철(DRI) 등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철강업계 “연간 1910억원 부담금 지급 전망”
EU CBAM은 한국 철강업계에도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기후솔루션은 국내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개편되지 않고 철강업체가 친환경 기술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EU의 CBAM 도입으로 국내 철강업계가 2040년 EU에 연간 1910억원의 탄소 배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기후솔루션은 그러나 탄소 배출권의 유상할당 비율을 확대하는 등 배출권거래제를 개편하고, 수소환원제철과 같은 탄소 저감 기술이 빠르게 적용되면 CBAM으로 인한 부담금을 최대 74%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 포스코, 탈탄소 길 연다...석탄 대신 수소로 만든 쇳물 '콸콸'
- "EU CBAM 본격 시행되면 '40년 철강업계 부담금 1910억원”
- 온실가스 '무배출' 시멘트 생산공정 개발됐다
- US스틸, ‘26년부터 이산화탄소 연 5만톤 포집
- 스웨덴 사브, 무화석연료 제철소 건설에 45억유로 투자
- 국내 철강, 탈탄소 경쟁력 확보 중요...판재류 대EU 수출 86%
- 국내 철강 생산·소비 기업 대다수 "그린철강 계획 아직 없다”
- 스웨덴 수소환원제철업체 'H2그린스틸', 벤츠에 그린스틸 공급 계약
- 인도 타타스틸도 고로에 수소 주입 테스트...포스코는 언제?
- 볼보에 이어 벤츠도 무화석연료 철 시제품 생산
- 스웨덴 하이브리트, 無화석연료 강철 생산...세계 최초
- 지난해 전세계 녹색채권 발행 5400억달러 돌파… 전년대비 7% 증가
- 중국, 전세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2/3 차지…석탄비중 역대 최저
- 중국, EV·배터리·태양광 등 신산업이 성장 주도...‘26년 GDP 23% 차지
- EU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전망..."올 평균 가격 톤당 67.2유로"
- "재생에너지 발전 급증에도 ‘25년까지 석탄 감축 제자리 걸음"
- 중국, 올해 상반기 석탄 발전 비중 59%... 동기간 사상 최저
- 신규 제철소 93%가 전기로...세계 철강 탈탄소화 '성큼'
- “탄소 감축 어려운 분야는 없다...청정 기술 발전하고 비용도 줄어”
- 철강 등 6개 산업 473개 대형 탈탄소 전환 프로젝트 자금난 직면
- 그린스틸 구매 약속 기업 늘어 ...아마존ㆍ존슨콘트롤즈도 합류
- 철강사 에너지 전환 지지부진...국내 철강사 재생에너지 사용 꼴찌
- 철강업계, 높은 고로 의존도 당분간 지속...“’30년 전기로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