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50%, 원전 24%...석탄9%, 가스 13% 화석연료 사상최저
재생에너지 빠른 확대가 핵심...지난해 태양광 설치 용량만 56GW
유럽전력 산업연맹 "재생에너지 확대흐름에 맞춰 전력망 균형도 맞춰야"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유럽연합(EU)의 올해 상반기 발전량의 약 74%가 무탄소 발전인 것으로 집계됐다. EU 역사상 가장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한 것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유럽의 전력 산업 연맹 유렉트릭(Eurelectric)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 상반기 EU 전체 전력 생산의 74%를 차지한 무탄소 에너지 가운데 50%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원에서, 24%는 원자력에서 생산됐다고 밝혔다. 석탄 발전은 전체 전력 생산에서 9%, 가스 발전은 13%를 차지해 EU의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유렉트릭의 크리스티안 루비(Kristian Ruby) 사무총장은 “유럽의 전력생산이 이토록 낮은 탄소 배출량은 보인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유렉트릭은 유럽의 에너지 믹스 변화를 주도하는 주 요인으로 재생 에너지의 빠른 보급을 꼽았다. EU는 지난 2023년에만 56GW(기가와트)의 새로운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충했으며, 이는 단일연 실적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16GW의 새로운 풍력 발전 용량을 설치하기도 했다.
유럽의 전력 수요 감소도 큰 몫을 했다. 2024년 상반기 EU의 전력 수요는 2021년 같은 기간보다 5.8% 감소했다. 유럽은 지난 2022년 러시아가 유럽에 가스공급을 줄인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을 경험했다. 이러한 에너지 위기는 산업계와 소비자들의 에너지 소비 위축으로 이어졌다.
한편, 유렉트릭은 이러한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이 유럽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고 수입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면서도, 노후화된 전력망이 변화하는 에너지 믹스에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벨기에 전력망 운영업체 엘리아(Elia)는 “최근 벨기에의 태양광 발전 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이번 여름에 저렴한 에너지가 과잉 공급되는 기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망의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루비 사무총장은 정책입안자들에게 재생에너지의 더 큰 용량에 대처하기 위해 전력망 업그레이드에 투자할 것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 EU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5% 기록...회원국 간 협력 강화
- EU, 저소득 회원국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32억 달러 투자
- IEA, 올해 청정에너지 투자 2조달러...화석연료 투자 2배
- IEA, ‘30년 재생에너지 3배 확충 서약… 현재 이행 수준이면 70% 달성
- "EU,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66%"...4월 화석연료 비중 사상 최저
- "미국, 2032년이면 풍력·태양광발전이 전체 발전량 45% 차지"
- 이집트, 10GW 육상 풍력발전단지 짓는다…100억 달러 이상 투자
- 구글 탄소배출량 5년만에 48% 급증…지속가능 AI 투자 고심
- 유럽도 전력망 구축 비상...수백 GW 풍력발전 연결 허가 대기중
- 독일, 아파트 세입자에 발코니 태양광 패널 설치 허용
- 남아공, 재생에너지 보급 드라이브…“비중 급증할 것"
- 중국 전력망에 6년간 8000억달러 투자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 대응
- 영국 노동당, 청정에너지 강국 공약...대규모 육상풍력 발전 사업 추진
- 베트남 국영전력공사, 개인 옥상 태양광 잉여전력 구매...자체공급망 투입
- EU, 지속가능한 스마트 수송 인프라에 70억유로 투자
- 이탈리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처음으로 화석연료 넘었다
- "재생에너지 발전 급증에도 ‘25년까지 석탄 감축 제자리 걸음"
- 온난화로 원자력 발전도 차질…EDF, 원전 발전량 축소 예고
- EIB, 도이치뱅크에 풍력분야 5억유로 '복보증'...11.8조원 민간투자 유발
- 글렌코어, 석탄사업 분사 계획 백지화..."화석연료 수익 포기 못해"
- 미국 전선 제조 스타트업 6000만달러 투자 유치...전력망 관심 반영
- 스위스, 신규 원전 건설 재개...“전력수급 장기 대책”
- 독일, 재생에너지 전력망 추가비용 전국 공동분담 추진
- 이탈리아, 탈원전 본격 시동...SMR 등 원전 신기술 허용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