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금감원‧기상청, 공동 기후대응 시나리오 분석 공개
‘30년 탄소 가격 150달러...석탄 발전 2040년 1%로 축소
1.5도 대응 과정서 국내 GDP 2100년 10.2% 감소 효과
장기적으론 기술발전과 기후피해 축소로 경제 회복력에 기여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한국이 기온 상승을 1.5도로 억제하기로 한 파리기후협약의 목표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나설 경우 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의 5%에서 2040년 80%까지 커질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다. 석탄 발전은 2020년 38%에서 2040년 1%로 축소되고 가스발전은 같은 기간 동안 27%에서 3%로 축소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 기온 저지선 1.5 ℃ 뚫리면, "기후 시스템 회복 힘들다”
- 미국 대형 은행 기후 리스크 평가‧관리 초기 단계
- KSSB ESG 공시기준, 시나리오 분석 매년 요구 안 해
- 한은‧금감원, 금융기관 기후 시나리오 개발...동일한 시나리오로 스트레스 테스트
- “질서있는 탄소중립, 전환 편익이 비용 압도”...성장률 7%p 높이는 효과
- TCFD, "기후공시 시나리오 분석 법적 위험 크지 않다"
- ESG공시 의무화 앞두고 주목 받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 기후변화 대응 지연 시 국내 주요산업 부가가치 대폭 감소
- UAE, 2030년까지 청정에너지에 76조원 투자
- 기후변화 방치하면..."물리적 리스크로 '50년 세계GDP 15% 감소"
- 트럼프, 기후위기 대응 훼방꾼될까...IRA 폐지는 지켜봐야
- 태양광 발전용량 2TW 돌파...최근 2년간 급증
- 파리협약 온난화 저지선 뚫렸다...올해 1.55도 상승 전망
- 일본, ‘4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최대 발전원으로 육성
- 지난해 세계 에너지 부문 고용 3.8% 증가...청정에너지 주도
- ESG 정보 중요성 판단 "식별-평가-정리-검토 4단계 과정 바람직"
- 일본, 2035 NDC 60% 감축 논의… 각계 전문가들 'NDC 강화’ 촉구
- KSSB 기준, 시나리오 분석으로 기후 회복력 평가 요구...50대 기업 대부분 시행
- ISSB S2 요구 수준 물리적 위험 공시 국내 기업 3%에 불과
- 정부, '수소불화탄소' 온실효과 낮은 물질로 전환… ‘35년 배출량 2천만t 감축
- 기후변화 저지선 1.5도 무너지나...C3S, "작년 1.6도 상승"
- 트럼프,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IPCC)에 美 과학자들 참여 중단 명령
- 한은, ‘50년 탄소중립 달성해도 금융기관 기후리스크 손실 26.9兆
키워드
Tags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기상청 #한은 #지속가능성 공시 #ESG 공시 #3개 기관 시나리오 분석 #NGFS 시나리오 #IPCC 시나리오 #공통사회경제경로 #SSP #기후정책 #파리협약 #전환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기후 대응 시나리오 #1.5도 대응 시나리오 #지연대응 시나리오 #2도 대응 시나리오 #무대응 시나리오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