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O성현회계, 사우스폴과 기후리스크 공시 전략 세미나
특정 수치나 확률 예측 아닌 배출량 시나리오에 기반해야
IPCCㆍIEAㆍNGFS 등 3개 배출량 시나리오 널리 활용돼
[ESG경제=이신형기자]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기후공시에서 시나리오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ISSB 공시 초안이 나왔을 때 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난색을 표했으나, 이제는 대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 글로벌 기후테크 투자, 국가별로 다양해지고 메가딜 증가
- 올해 가장 뜨거운 해 된다…CCCS ”12만5천년 만에 최고 확실“
- KB금융, ESG 정보와 재무정보 연계...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준비
- 美 캘퍼스, 2030년까지 기후 투자 2배 확대
- [ESG경제 포럼] “ISSB 기준 도입, ESG 평가등급 높일 것”
- [ESG경제 포럼] 신한금융, 내년부터 전환금융 배출량 공시
- [ESG경제 포럼] ESG 공급망 실사 대응 "국가 차원 데이터 관리 허브 구축해야"
- [ESG경제 포럼] ISSB 백태영 위원, "KSSB 법정공시 전환 시간 걸릴 것"
- [ESG경제 포럼] 자본연, "ESG 공시 인증 제한적 확신 수준으로"
- [ESG공시 표준화] ISSB S2 공시, 기후관련 물리적 ㆍ전환 리스크 공시 요구
-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ESG 공시 인증 "IAASB 기준 채택 전망"
- ESG 공시기준 '양대산맥' GRI와 ISSB 손잡았다...'지속가능성 연구기관' 공동 설립
- 탄소집약 1000대 기업 중 실질적 감축 전략 수립은..."5%에 불과"
- SEC 관계자들, 기후공시 '스코프3 완화' 가능성 시사
- “TCFD 기준 ESG 공시 고도화에 4년6개월 걸려”
- “이대로는 안 된다, 더 혁신적 탄소 제거 기술 필요”...美 연구진 지적
- TCFD, "기후공시 시나리오 분석 법적 위험 크지 않다"
- 금융위원회, "ESG 공시 거래소 공시로 도입 검토"
- ESG 공시를 위한 국가 인프라의 구축
- 한국공인회계사회, '제8회 ESG 인증 포럼' 개최
- 글로벌 다자개발은행들, ISSB 공시기준 지지 확인
- “질서있는 탄소중립, 전환 편익이 비용 압도”...성장률 7%p 높이는 효과
- “KSSB 공시기준, 3월 초안 6월 최종안 나올 것”
- EU, 은행 ESG 리스크 관리 위한 규정 도입
- 한은‧금감원, 금융기관 기후 시나리오 개발...동일한 시나리오로 스트레스 테스트
- 국내 ESG 공시기준 초안 뜯어보니...ISSB 기준 기반, 기후공시부터 의무화
- KSSB ESG 공시기준, 시나리오 분석 매년 요구 안 해
- “기후 대응 실패하면 기업 주식 가치 반토막 위험”...싱크탱크 주장
- 1.5도 목표 국내 기후대응 시나리오는...‘40년 재생에너지 비중 80%
- 기후변화 대응 지연 시 국내 주요산업 부가가치 대폭 감소
- 국내 은행 기후 신용손실, 고탄소 제조업‧자연재해 민감업 집중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