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아문디 최종원 채권리서치실 실장, 전환금융 여부 확인에 공시 필요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최근 ESG 금융의 주도적인 흐름으로 부상하고 있는 전환금융이 더욱 활성화되려면 양질의 ESG 공시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NH아문디자산운용의 최종원 채권리서치실 실장은 20일 금융투자협회와 자본시장연구원, 한국회계학회, 한국은행, 한국회계기준원이 공동 주최한 “자본시장 가치제고 지속가능성 의무공시 관련 토론회‘에서 ”현재 EU 택소노미와 기술 로드맵 등에 기초해 전환금융 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투자자 입장에서 해당 투자가 전환금융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업의 공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전환금융 관련 잠재적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한 지표와 데이터가 부족하다“며 ”특히 전환금융은 기업 및 프로젝트 평가 시 다양한 부문과 지역, 글로벌 시나리오, 경로 및 벤치마크 등을 반영해야 하므로 신뢰할 수 있고 비교 가능성을 보유한 양질의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실장에 따르면 전환금융은 ’경제활동 가운데 배출 집약적이며 실질적인 친환경 대체재가 없으나, 넷제로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경제활동을 탈탄소화‘하려는 목적으로 등장했다.
산업부문의 탈탄소화와 기후목표 달성은 물론 금융기관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도 갈색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한 전환금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만 전환금융이나 전환 활동의 기준이나 정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그린워싱 위험, 단기적인 금융기관의 금융배출량 증가 가능성, 전환금융을 제공받을 기업의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한 고품질의 데이터 부족 등이 제약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최 실장은 ”금융 투자자에게 전환금융이 비즈니스 기회“라며 전환금융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투자자와 사모펀드, 펀드 매니저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캐나다의 대체투자 자산운용사 브룩필드의 경우 150억달러 규모의 전환펀드를 조성하고 에너지 전환 사업을 2000억달러 규모로 키울 계획이다.
공시, ”지속가능 리스크에 대한 관심과 측정, 관리 증거“
최 실장은 ESG 공시는 ”지속가능 리스크에 대한 (기업의) 내부적 관심과 측정, 관리에 대한 증거“며 ”기후위험으로 인한 기업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보험료“리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은 단기적인 공시 및 관리 비용만을 고려해 공시를 미루고 있으나, 중장기적 관점에서 선제적 관리로 회피할 수 있는 피해 손실 규모를 고려하면 사전에 위험을 측정 및 관리하는 것이 기업에게 이익“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험의 측정과 관리, 대응, 회피 과정에서 공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을 내부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는 기업의 더 높은 수익성을 올린다는 연구 결과도 많다.
최 실장에 따르면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조지 세라핌 등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1990년대 초에 ESG 성과를 측정, 관리한 기업은 이후 18년 동안 대조군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뒀다.
노르디이 에쿼티 리서치(Nordea Equity Research)가 2017년 실시한 조사에서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ESG 등급이 가장 높은 기업이 가장 낮은 기업보다 40%나 높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 ESG 공시 정보 이용자 73%가 '스코프3' 의무화 찬성
- “ESG 백래시 약화”...전환금융이 큰 역할
- 美 SEC, 기후공시 의무화 반대 소송에 적극 대응 천명
- 한은, 중기 녹색금융 '그린 CLO' 도입 제안..."탈탄소 전환 자금 저리 공급"
- 한은, ‘22년 KB국민‧신한‧우리은행 녹색대출 비중 2.76% 그쳐
- ESMA, 모든 금융상품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 권고
- 한은 "금융배출량에 집약도 포함하고 ESG공시 조속 확정해야"
- 중소기업 탄소중립 산업정책 시급...ESG공시·재생에너지 확대해야
- 호주, 기후공시 의무화법 의회 통과... ‘26년 대기업부터 공시
- 국내 화석연료 금융 332조원…"2050 금융부문 넷제로 비상"
- 독일, 탄소포집 포함 산업계 탄소 감축에 4.9조원 투입
- 기후변화로 캡티브 보험시장 규모 2000억달러 돌파
- 캘퍼스•NBIM 등 해외 투자자, KSSB 초안보다 강화된 공시기준 요구
- 한국공인회계사회, 지속가능성인증연구센터 개설
- 미국 대형 은행 기후 리스크 평가‧관리 초기 단계
- 성현회계법인, 이수시스템과 ESG 데이터관리 플랫폼 공동 사업
- 한은 "기후공시 내부적으로 논의 중"...단계적 시행 가능성
- 주요국·기업 등 넷제로 목표 확대...실질적인 계획은 미흡
- 한은, 기후대응에서 주요 20개 중앙은행 중 16위...한중일 중 꼴찌
- 美 대기업 지속가능성 공시에서 이중중대성 평가 크게 늘어
- [단독] 피델리티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 금융위에 ‘26년 ESG공시 의무화 촉구
- 국내 ESG펀드 잘 나가네...올해 평균 수익률 시장 지수 상회
- 은행, 전환금융 투자 꺼려…세계 탈탄소화 걸림돌 우려
- 환경단체, 블랙록 그린워싱 신고...자산운용사 상대 NGO 기후행동 첫 사례
- 기후변화 방치하면..."물리적 리스크로 '50년 세계GDP 15% 감소"
- EIOPA, 유럽위원회에 보험사 화석연료 자산 자기자본비율 강화 권고
- K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12월 의결...내년 기업 대상 파일럿 테스트
- 스코프4를 아시나요?...PCAF, '회피 배출량' 측정 표준 만든다
- 금융위, ‘금융배출량 플랫폼' 구축…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 K-택소노미 개정...다회용기 활용 등 10개 경제활동 신설
- 글로벌 금융기관 한국기업 투자 배제 54%↑…원인은 '무기'와 '기후'

